* 2018.07.
3,4번 글의 편집이 잘못되어 재첨부하며,
물꼬방 여름연수 원고 파일을 첨부합니다.
인생 수업
박유미(todaymomentbook@gmail.com)
고2 여고생들과 함께했고, <독서와 문법> 수행평가로 진행했습니다. 문학이나 독서와문법이나 지필이 90%고 수행이 10%인 상황이었고 수행평가의 민원 제기를 많이 염려하셔서 거의 만점을 주었습니다. 그래서 쓸 만한 평가 기준은 없지만 수업 자료를 활용하실 수는 있으리라 봅니다.
진로 활동이 많은 요즘입니다. 직업이나 학과 탐색도 중요하지만 가장 근본적인 것은 인생을 대하는 태도라고 생각했습니다. 삶에 대해 성찰해보는 것이 먼저가 아닌가 싶었습니다. 그래서 인생수업으로 이름 붙인 이 활동을 했습니다.
아이들의 수업 참여와 호응이 좋았습니다. 이 수업을 통해 지난 인생을 성찰하고 앞으로의 삶에 대해 생각하는 데 많은 도움을 얻었다는 후기가 많았습니다. 1학기에 장편소설 책 대화를 진행했고, 2학기에 인생 수업을 해서 그런지 서로를 인정하고 격려하는 분위기, 훈훈하고 참여적인 분위기가 참 좋았던 수업입니다.
사실 단행본을 읽힐 시간이 없어서 짧은 글을 여러 편 읽는 수업을 한 것인데, 나중에는 짧은 글 대신 인생에 대해 성찰할 만한 책을 읽고 수업하면 더 좋을 것 같습니다. 좋은 삶이 어떤 삶인지 고민하게 하고 싶고, 그 고민을 친구들과 나누면서 내밀한 생각을 나누게 하고 싶은 분들이 시도해보셔도 좋겠습니다.
순서
|
개요
|
차시
|
1
|
알을 깨다 다큐멘터리 시청
|
1
|
2
|
알을 깨다 활동지 작성 및 모둠 대화
|
1
|
3
|
글 두 편 읽기 + 모둠 대화
|
1~2
|
4
|
글 네 편 읽기 + 글쓰기
|
1~2
|
5
|
1분 말하기(모둠) + 인생 질문 카드 놀이
|
1~2
|
순서 1 : 알을 깨다(sbs 다큐멘터리) 시청
-허수은샘께서 소개해주셨습니다. 감사합니다!
순서 2 : 질문에 답하는 활동지 작성 후 모둠 대화하기
-여러 질문을 주고 몇 가지를 선택하여 답하게 하였음
1. 영상에서 나에게 가장 인상적으로 다가온 부분과 그 이유는?
2. 미즈노의 말이나 행동 중 기억에 남는 것과 그 이유는?
3. 내가 나 자신을 감동시킨 경험
(미즈노는 무엇을 하고 자신에게 감동받았나?)
4. 나의 꿈이나 인생과 관련하여 자기 자신과 진지하게 대화한 경험
(미즈노는 자신과 어떤 대화를 했나?)
5. 나답게 산다는 게 뭘까?
(미즈노는 자신답게 사는 길을 찾았는가?)
6. 나는 어떻게 살아야 행복해질까?
(미즈노는 어떻게 살면서 행복을 느끼나?)
7. 알을 깬다는 것의 의미는 무엇일까? 영상에 알을 깬 존재가 있는가? 나는 알을 깬 적이 있는가?
순서 3~4 : 글 읽고 대화 및 글쓰기
- 글을 타이핑하여 출력했습니다. 읽으면서 인상적인 부분에 표시하게 했습니다. 모둠에서 인상적인 부분과 이유를 나누는 대화를 하고, 글을 읽은 후 떠오르는 질문 거리나 이야깃거리를 각자 쓰고 모둠에서 몇 가지 골라 대화 나누고 발표하였습니다. 모든 글을 읽은 후에는 가장 마음에 드는 글 한 가지를 골라 자신의 삶과 관련하여 감상 글을 쓰는 활동을 했습니다. 그 감상 글을 토대로 모둠 내에서 1분 말하기 활동 -> 몇 명의 전체 발표로 마무리했습니다. 자신의 삶을 진지하게 성찰하고 삶의 자세를 다짐하는 좋은 글들, 좋은 이야기가 많았습니다. 마지막에는 글의 출처인 책들을 쭉 소개해주었습니다.
*함께 읽은 글 목록
Ten days of happiness, 『청춘의 문장들』, 김연수
-제가 타이핑했습니다.
어떻게 하면 직업에서 성공할 수 있을까, 『성적은 짧고 직업은 길다』, 탁석산
-이상용샘께서 소개해주셨습니다!
자기 자신 사랑하기 그건 어떻게 하는 거예요?, 『딸에게 주는 레시피』, 공지영
-이상용샘께서 소개해주셨습니다!
자신감 이야기, 서천석(정신과 전문의) facebook
인간은 누구나 최대한의 자신을 꿈꿔야만 한다고 믿는다, 『소설가의 일』, 김연수
-제가 타이핑했습니다. 너무 짧게 발췌한 게 아쉬웠어요. 쓰실 분들은 보완하시면 더 좋을 거 같아요.
이번 시합에서 최선을 다하지는 마세요, 『소설가의 일』, 김연수
-제가 타이핑했습니다.
천재시대의 종말, 공유가 창조다, 『명견만리 (윤리, 기술, 중국, 교육편)』
-정성화샘께서 소개해주셨습니다!